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여장연 웹진

48호

48호
2013 제12회 한국여성장애인대회

<<< focus 1
여성장애인, 문화의 바다에 풍덩 빠지다!
- 신희원 (사)한국여성장애장애인연합 사무처장


1. 여성장애인의 정보문화권

문화는 인간의 보편적 권리인 동시에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실제로 장애인이 여가 및 문화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제반 여건을 많이 갖고 있을수록 삶의 질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백은령,2003). 이는 여성장애인의 경우도 에외는 아니다.

현대사회에서 문화적 경험으로부터의 소외는 차별이며, 사회적 소외를 더욱 심화시켜 개인의 자존감 상실과 사회성 향상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국여장연’은 인간의 문화적 권리가. 경제적 가치나 복지를 넘어 삶의 질 향상과 의미를 높이는 사회적 기본 권리임을 인식하고 2009년 이어 올해 2013년에도 중점운동방향으로 여성장애인 정보문화권 확보를 선정하였다.

여성장애인은 문화예술활동 참여와 여가활동 참여를 통해 자신에 대한 발견, 긴장감 해소, 대인관계의 향상, 자신에 대한 중요성 인식, 고민거리 해결과 같은 긍정적인 경험을 하며, 이러한 경험은 여성장애인 자아존중감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박현주,2010; 황주현,2008) 그러나 문화시설까지의 교통편이나 편의시설 미비, 경제적 부담, 졍보부족과 정보접근성의 취약, 여성장애인을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부족 등으로 인해 여성장애인의 문화여가예술활동의 욕구가 충분하게 충족되고 잇지 않음을 알 수 있다.(황주연,2008).


2. 여성장애니 정보문화권 실태와 현황

정보의 속도와 양에 민감한 현대사회에서 정보접근은 여성장애인들이 다른 비장애인들과 동등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정보네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적고 정보매체의 이용빈도가 높으며 다양한 정보제공과 정보에 접근하려는 욕구가 높을수록 여성장애인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자신을 요능이 있고 인지된 권한을 느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여성장애인의 정보통신기기 사용여부를 실펴본 결과, 여성장애인의 67%가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었고, 3.6%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었다. 컴퓨터는 19%, 인터넷은 18.7%가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는 남성장애인의 절반이하의 사용정도를 보여 여성장애인의 정보통신 기기 사용의 취약성을 나타내고 있다. 비장애인의 인터넷 이용율을 남성이 83.6%, 여성이 73.2%이고 (2012, 한국인터넷진흥원). 전체 국민의 컴퓨터 보유율이 81.9%, 스마트폰 보유율도 39.6%(2011,한국정보문화진흥원)로 나타나 여성장애인의 정보통신기기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열악함을 보여준다. 특히 장년기 이후에 여성장애인의 정보통신기기의 사용비율이 남성장애인에 비해 많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장애인의 문화여가활동 경험은 TV시청이 95.3%로 대부분 차지하였고, 가사잡일 70.6%, 사교일 54.8%, 가족과의 외식 34.6%, 휴식 33.8%,독서, 신문, 잡지보기 19.5%, 컴퓨터 인터넷 16.3%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장애인에 비해 여행, 자원봉사, 레저스포츠 등의 활동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문화여가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약간 불만이다’가 39.9%, ‘약간 만족하다’가 32.2%, ‘매우 불만이다’가 24.2%, ‘매운 만족하다’가 3.7%로 나타나 70%가까이가 문화여가활동에 만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불만족 이유로는 건강이나 체력이 부족해서 50.3%, 경제적 부담 때문에 26.9%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적당한 취미가 없어서 8.7%, 시간이 부족해서 6.1%, 도우미가 없어서 3.4%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여성장애인의 접근권은 정보문화권, 문화접근권, 이동권으로 볼 수 있다. 우선 여성정애인 정보접근권의 실태는 컴퓨터, 인터넷의 사용이 비장애여성이나 남성장애인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고, 그 이유로는 방법을 몰라서라는 응답이 많았다. 따라서 컴퓨터나 인터넷의 보급과 여성장애인에게 밀접한 기초적인 정보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문화접근의 실태로는 여성장애인 대부분이 TV시청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았고 스포츠나 여행 등은 남성장애인에 비해 활동경험이 낮았다. 또한 건강이나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문화나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바우처 등의 방법을 통해 여성장애인들이 다양한 문화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여성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소외 및 문화 욕구 등 기본적인 실태조사조차 이뤄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며 여성장애인은 경제적 어려움, 접근이 가능한 문화공간의 부족 등으로 문화혜택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표 1> 문화 및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도 (단위: %)

                            지체            뇌병병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자폐성
구분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매우 만족하다         3.7                3.9             6.3              5.7              3.8               7.2              7.7
약간 만족하다        14.1              11.5           14.5             17.1             13.9             21.3             18.3
보통이다                40.5              32.6           37.7            42.5             39.1             38.7             34.3
약간 불만이다        27.7              26.6            30.0            24.1             30.6             20.6             28.7
매우 불만이다        14.0              25.3            11.5            10.5             12.5             12.2             11.1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전국추정수       1,142,188        195,697        221,885         210,000         20,011         140,641         12,908


                            정신        신장       심장    호흡기      간       안면    장루, 요루   간질       전체
구분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매우 만족하다        2.4           3.2         4.4         1.5         5.8      10.0           5.8         4.6          4.4
약간 만족하다      19.3           8.8        17.4        12.1       19.6      22.8          17.4        12.3        14.8
보통이다              40.7         39.5        37.0        33.2       37.1      35.2          37.7        33.0        39.3
약간 불만이다       21.3        29.7        29.4        33.4       23.2      20.9          25.7         30.9        26.9
매우 불만이다       16.3        18.9        11.8        19.8       14.3      11.1          13.4         19.3        14.5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전국추정수         84,174     48,903     15,088     47,782     6,495      2,106      11,373      10,974    2,137,225


문화 및 여가 활동이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장애인에 대해 만족스럽게 보내지 못하는 주된 이유를 알아본 결과. ‘건강이나 체력의 부족’이라는 응답이 36.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경제적 부담 때문’이라는 응답이 35.9%이었다.

<표 2> 문화 및 여가활동의 불만족 주된 이유 (단위: %, 명)

                                      지체          뇌병병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자폐성
구분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경제적 부담                        40.8            16.7           38.8         37.8       43.9           32.9        25.0
시간의 부족                        13.6             0.8           10.5          7.5         3.3             1.9        2.5
교통혼잡 및 이용                  0.8              0.5            0.7          0.9         0.0             0.0         0.9
교통수단의 불편
도우미가 없어서                   1.6              2.7            5.8          1.5         3.2             13.3       21.8
여가시설의 부족                   1.4              0.9            0.8          2.6         0.9              3.2        7.3
여가시설내                          2.9              0.6            0.5          2.5          0.6             2.8       14.8
편의시설의부족
여가정보 및                         1.9             3.0             0.5          1.8          2.9             8.9        7.2
프로그램의 부족
적당한 취미의 부재                7.1             5.6            7.6         12.7        11.8             14.5      11.9
건강이나체력의부족              29.5            69.3          34.7         32.7        33.4             22.4       8.6
기타                                  0.4             0.0            0.0           0.0         0.0              0.0        0.0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전국추정수                     476,872      101,684       91,984      72,694      8,633         46,175     5,129



                               정신       신장     심장     호흡기      간        안면   장루, 요루     간질     전체
구분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장애
경제적 부담               24.1      29.0     26.6     22.1      32.3     61.3       30.9        48.0     35.9
시간의 부족                 2.1        2.2      1.4       0.3        3.4      11.4         6.0         0.9      9.5
교통혼잡 및 이용          0.0        0.6      0.9       0.9        1.0        0.0         0.8         1.3      0.7
교통수단의 불편
도우미가 없어서         10.5        1.2      0.0       1.4        0.0        0.0         0.0         1.9      3.2
여가시설의 부족           1.4        0.7      2.2       0.4        1.8        0.0         1.0         0.0      1.5
여가시설내                  2.9      0.4      0.6        0.4       0.0         4.6         3.1        0.0       2.3
편의시설의부족  
여가정보 및                 6.5       0.7      1.8         0.5       0.4         2.2        3.1         2.6       2.4
프로그램의 부족    
적당한 취미의 부재     13.8       0.9      6.9        12.1       1.8        5.9        9.3        10.6       8.0
건강이나체력의부족    38.8     64.3     59.5        62.0     59.2       11.3     45.9       34.5      36.4
기타                          0.0        0.0       0.0         0.0        0.0        3.3        0.0         0.0       0.2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전국추정수            31,624   23,761   6,224     7,869    2,436     674     4,451     5,511   885,721


*자료 : 2008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


이러한 우리사회의 심각한 장애인 문화차별현실을 해소하기 위해 2008년 4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차별금지법 제24조(문화ㆍ예술 활동의 차별금지)에서는 분화권확보의 중요성을 법안에 담아 규정하고 있다.

제24조(문화ㆍ예술 활동의 차별금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해당 사업자는 장애인이 문화ㆍ예술ㆍ체육활동을 하는데 있어 시설의 이용이나 참여를 거부하거나 차별해서는 안되며, 참여에 필요한 정당한 편의를 제공해야 하며, 장애인의 참여를 위하여 적극적인 활동을 지원하여야 한다.

# 여성장애인 문화권 차별사례
○○ 지체 여성장애인 U씨 : 극장에 갔는데 휠체어장애인 지정좌석은 맨 끝에 있어 남자친구와 나란히 앉아 영화를 볼 수 없었다.

○○ 시각 여성장애인 K씨 : 공연을 보러 갔는데 점자로 된 안내책자가 없어 상세
한 공연내용을 알 수 없었다.

○○ 청각 여성장애인 B씨 : 한국영화를 보고 싶지만 자막 및 수화통역이 전혀 없다.

*자료 : “2008‘ 장애인차별금지법 지역워크ㆍ여성장애인 차별발굴 사례 중”


3. 여성장애인 정보문화권 확보를 위한 제12회 한국여성장애인대회

(사)한국여성장애인연합은 여성장애인 정보문화권에 대한 사회적 차별실태에 근거하여 모든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권리임을 천명하며, 여성장애인 문화향유권 및 정보접근권을 공유하고 사회 인식개선을 위해 2013ㆍ제12회 한국여성장애인대회를 개최한다.

본 대회는 전국의 400여명의 여성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져 문화권에 대한 사회적 배제와 차별, 억압되었던 몸와 마음을 여성장애인 당사자의 관점에서 생생한 문화적 코드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여성장애인 문화권의 소중함은 곧 우리사회의 삶의 질 향상과 행복의 메시지”임을 알리고 사회변화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대회개요
○ 행사명 : 여성장애인 정보문화권 제12회 한국여성장애인대회
○ 일 시 : 2013년 7월 23~24일(1박2일)
○ 장 소 : 서울 올림픽파크텔(올림피아홀)
○ 주 최 : (사)한국여성장애인연합
○ 지 원 : 보건복지부
○ 참 석 : 전국의 여성장애인 400명


2013년 제12회 한국여성장애인대회 세부프로그램

첫째날
13:00~14:00 등 록                        등 록
14:00~15:00 여는마당                   ▯ 오프닝공연
                                                   
▯ 대회사(상임대표)
                                                   
▯ 축 사
                                                   
▯ 결의문 채택
15:00~17:30 문화마당                   ▶여성장애인 정보문화경연제
18:00~19:30 휴식 및 저녁식사       다같이
19:30~22:00 향유마당                   ▶여성장애인 정부문화페스티발

둘째날
7:30~9:00 아침식사다같이
9:30~11:30 함께마당                     여성장애인 정보문화권 정책토론회
11:30~12:00 결의마당                   시상식, 폐회식
12:00~          점심식사 후 귀가

(사)한국여성장애인연합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 이룸센터 4층 2호 (우 07236)
Tel. 02) 3675-9935, 02) 766-9935     Fax. 02) 3675-9934     E-mail : kdawu@hanmail.net     홈페이지 유지보수 : 그루터기
COPYRIGHT(C) 한국여성장애인연합,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