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여장연 웹진

64호

64호
(이야기마당 2) “신·활·력·소” 참가 인터뷰

<여성장애인·활동가 이야기마당 2>

“신·활·력·소” 참가 인터뷰
(신입활동가 역량강화를 위한 소중한 워크숍)

일시 : 2017년 5월 22일~34일
장소 : 부산 송정호텔

 - 장지형(광주여성장애인연대 부설 광주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 지원상담원)

Q. 본인 소개 부탁드려요.
A. 안녕하십니까? 저는 광주여성장애인 성폭력상담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지원상담원이자 시각장애인입니다.

Q. 신입활동가로서 힘들거나 어려운 일은 무엇인가요?
A. 아장아장 걸음마를 배우고 넘어지고 쓰러지듯이 모르는 것을 배우는 과정입니다.

Q. ‘한국여성장애인연합의 역사와 태동’ 강의를 듣고 어떤 생각을 하셨나요?
A. 여성장애인들의 소통과 화합으로 지역조직으로부터 시작되고 모아져서 지금의 한국여성장애인연합의 역사를 알게 되어서 뿌듯하였습니다.

Q. 활동가의 정체성에 대해 배우기 전과 후에 활동가에 대한 생각이 달라졌나요?
A. 전 : 무심코 던진 말 한마디와 행동이 있었지만
    후 : 투철한 사명감과 책임감을 되새길 수 있었습니다.

Q. 문화체험 시간에 만든 목걸이와 팔찌는 잘 사용하고 있으신가요?
A. 제 자신도 소중하지만 저에게 좋은 가르침을 항상 곁에서 베풀어주신 하늘나라에 계신 엄마에게 목걸이와 팔찌를 선물로 드렸습니다.

Q. 다른 활동가들과 교류는 많이 했나요?
A. 한 사람 한 사람 자기소개를 시작한 후, 교육 듣고 쉬는 시간에 맛있는 다과도 먹으면서 담소를 나누었습니다.

Q. 1박 2일 동안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A. 한국여장연은 어떻게 존재해왔는지 그 시작과 흐름을 함께 듣고 다시 한 번 자부심이 생겨 뿌듯하였습니다.

Q. 신입활동가 워크숍에 참가한 소감을 말해주세요.
A. 활동가이기 전에 저도 여성장애인의 한 사람으로서 한여장의 창립, 역사를 알게 되고 주인의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Q. 신입활동가로서 앞으로의 각오는 무엇인가요?
A. “적극적인 활동가”, “성장하는 활동가”, “진취적인 활동가”가 되고 싶습니다.

Q. 마지막으로 인권저널을 통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남겨주세요.
A. 두려워하지 말자! 나는 할 수 있다! I can do it

(사)한국여성장애인연합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 이룸센터 4층 2호 (우 07236)
Tel. 02) 3675-9935, 02) 766-9935     Fax. 02) 3675-9934     E-mail : kdawu@hanmail.net     홈페이지 유지보수 : 그루터기
COPYRIGHT(C) 한국여성장애인연합,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