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 too #With you
-이희정(한국여성장애인연합 부설 서울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장)
지난해 10월 헐리웃에서 본격화되기 시작하며 현재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ME TOO의 물결은 우리 사회에 관한 부끄럽지만 더 이상 숨길 수 없는 솔직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WITH YOU, 말의 의미를 여러분들은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당신과 함께 라는 이야기입니다.
'함께' 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았습니다.
부사로 주로 ‘…과 함께’ 구성으로 쓰이며 한꺼번에 같이. 또는 서로 더불어, 같이: 둘 이상의 사람이나 사물이 함께, 더불다 동사로 1. 둘 이상의 사람이 함께하다. 2. 무엇과 같이하다. 3. 어떤 일이 동시에 일어나다.
동사라는 것은 계속 움직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작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움직이고 있는 것은 존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늘 피해자들과 함께 존재하고 있습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첫 번째는 여성장애인성폭력피해지원자인 나는 ‘WITH YOU’를 어떻게 하고 있는가? 두 번째는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는 사람의 ‘WITH YOU’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입니다.
어제 업무가 끝나갈 무렵 피해자 한 분을 만났습니다.
몇 년 전에 성폭력 피해가 있고 오랫동안 괴로움과 고통 속에 지내다가 용기내서 고소를 했지만 주변인들이 모두 가해자를 두둔하며 피해자에게 연락하여 괴롭히고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저는 그분의 이야기를 들으며 그분이 겪었을 두려움과 수치심 괴로움 고통에 공감하며
"당신의 잘못이 아니다. 명백한 2차 피해이다."
라는 말과 함께 지지와 응원의 말씀을 드렸습니다. 피해 당사자는 마음이 좀 편해졌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는 계속 상담하고 싶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저는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가지 활동 들을 하고 있습니다. 피해자의 이야기를 듣기, 들은 이야기를 토대로 수사 사법, 의료, 사회복지, 교육 기관 등 피해자에게 필요한 부분을 지역사회의 지원 체계에 있는 각 영역의 종사자에게 피해자의 이야기를, 피해자의 속도에 맞춰 그들의 언어로 전달하고 설득하며 동행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지원을 하다보면 피해자를 지원하는 수많은 기관의 종사자들이, 그들이 접하는 장애인 당사자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그들의 이야기를 온전히 반영하지 못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럴 때 우리는 피해자의 입장을 대변하고 옹호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장애인폭력 피해당사자의 말하기의 중요성을 알고 있습니다. 말한다는 것은 주체성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성폭력 사건에서의 주체는 피해 당사자입니다. 지원자가 주체는 아닙니다. 우리는 폭력 피해 장애인당사자의 말을 듣고 잘 전달하는 조력자 일 뿐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가끔씩 놓칠 때가 있습니다. 사회적인 언어를 잘 사용하는 우리가 그들이 주인공이라는 것을 잊고 있습니다. 그들이 사회적으로 익숙한 언어를 사용하기 어렵다 해서 그들의 말을 듣고 있으면서도 듣지 않은 척 합니다.
피해자를 타자화 시키지 않고 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우리가 지지와 응원 조력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올바로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올바로 알기 위해서는 감수성이 필요합니다. 장애인 피해자를 지원하는 우리들은 꼭 갖춰야 할 덕목입니다.
우리가 직접 나서는 것이 때로는 빠를 수도 있겠지만 감수성을 통해서 피해자가 주체적으로 말하기를 계속 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응원하고 것, 피해자가 안전하게 살아 갈 수 있도록 지역 사회 인적 물적 자원과 잘 연결해 주는 가교 역할, 이것이 바로 우리의 위드 유이며 피해자의 말들을 사회적으로 잘 알려내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나아가 국민들이 함께 위드 유를 한다는 것은 먼저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가 있다는 것을 국민들이 알게 하는 것입니다. 장애인피해 당사자의 이야기를 처음에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려고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그들이 나 보다 말하는 것, 듣는 것이 어렵다고 해서 그들을 무시하지 않고 그들이 말하는 것을 온전히 들으려고 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사회 변화를 꾀하고 차별 없는 평등한 문화의 확산을 우리 모두 원한다면 그들의 목소리를 들을 준비를 해야 합니다. 또한 나아가서 그 목소리에 대한 지지를 지속적으로 보내는 것이 우리 모두가 해야 할 일입니다. 그것이 진정한 위드 유입니다.
때로는 평소와는 다르게 용감한 태도가 필요합니다.
위드 유에 동참하지 못하고 부정적인 의견을 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위드 유가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통해 배운 것은 소수의 사람들만이 긍정적인 측면을 볼 수 있더라도 그들은 우리에게 힘을 줄 만큼 충분합니다.
미투 와 위드 유의 혁명의 역사에 제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습니다.
그 마음을, 그 연대를, 멈추지 마십시오. 우린 혼자가 아닙니다. 여러 사람이 함께 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 주십시오. 오늘도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길을 걸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