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추천:‘나는 보리’
(사)한국여성장애인연합 활동가 임 선 영
<나는 보리>
개요:드라마/한국/110분
개봉:2020.05.21.
“엄마랑 아빠랑 정우 보고 있으면
되게 행복해보여. 나만 다른 사람 같아”
안녕하세요. 한국여성장애인연합 사무처 임선영 활동가입니다. 저는 이번에 <나는 보리>라는 영화를 보고 따뜻한 감동을 하게 돼서 추천하게 됐습니다.
농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자녀인 보리가 가족끼리 있으면서도 소외감을 느끼게 되고 보리는 스스로 소리가 안 들리길 원한다는 내용의 이야기로 감독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입니다.
보리는 가족 중에서 유일하게 들을 수 있는 아이인데 보리가 있기에 가족들은 세상과 단절이 되지 않은 상태로 살아갈 수 있으며 보리가 있기에 가족들이 좋아하는 짜장면도 먹을 수 있습니다.
보리는 이러한 상황이 불만이지 않고 다른 불만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가족 중에서 유일하게 들을 수 있다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보리가 가족 공동체 내에서 소속되지 못하는 불안감 때문에 보리는 스스로 농인이 되길 소원합니다.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이 영화는 김진유 감독의 자전적 경험담을 토대로 만들어진 영화이며 김진유 감독이 영화화하기 전에 겪은 이들의 이야기도 포함이 되어 있다고 합니다.
보리는 소리를 잃기 위해서 노래 볼륨을 크게 듣거나 제주해녀 할머니의 귀가 어두우신 이유가 바다에 들어갔다 나오니 귀가 먹먹해져서 잘 안 들리는 인터뷰를 보고 바다에 뛰어들었습니다. 어린 마음에 얼마나 가족들과 같아지고 싶으면 이렇게까지 할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보리가 바다에 빠진 후 눈을 떴을 때 의사 선생님의 질문에 눈만 끔벅이며 알아듣지 못한다는 사실에 엄마는 망연자실하지만, 청력을 잃었다는 건 거짓말이었습니다. 보리는 들리지 않는 삶을 살면서 주변 사람들 친구들의 동정 그리고 무시를 경험하면서 많은 것을 깨닫게 됩니다.
영화를 보면 엄마와 함께 간 옷 가게에서 장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사기를 당하거나, 축구를 제일 잘하는 동생 정우가 못 듣는다는 이유로 축구팀에서 제외될 위기에 처하는 상황,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어릴 때 놀림을 당했고, 그로 인해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낚시만 하는 아빠의 모습 등 보리의 가족이 경험하는각박한 현실을 보면서 마음이 먹먹해져 왔으며 화가 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경험하는 삶의 무게가 얼마나 무거웠을지...
보리는 연극을 하면서 자신이 진심으로 사랑받는 존재이며 사랑받는 딸이며 수화를 통해 우리는 항상 똑같다는 말을 소통하며 확인하고, 그동안
서운하게 느껴왔던 오해를 풀어나가는 과정을 그려 나갑니다.
저는 이 영화를 통해 코다라는 뜻을 처음 알았고, 농인의 가족들 사이에서 느끼는 감정이나 현실을 주인공인 보리의 어리고 따뜻한 시선을 통해 더 많이 생각하고 듣고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소통이 정말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더 느낄 수 있었으며 소통이라는 것이 서로 말을 하고 소리를 듣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고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자 하는 노력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장애 여부와 상관없이 진심이 통하는 소통을 통해서 따뜻한 감정을 느끼면 좋겠습니다. 따뜻한 가족 영화를 찾는 분들에게 꼭 추천드리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