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여장연 웹진

63호

63호
(핫&포커스 1) 2017년 (사)한국여성장애인연합 제19차 정기총회 및 중점운동방향

<Hot&Focus 1>

2017년 (사)한국여성장애인연합 제19차 정기총회 및 중점운동방향
 - 이희정(한국여성장애인연합 사무처장)

 2017년 제19차 한국여성장애인연합(이하‘한국여장연)정기총회가 2월 3일전국의 대의원과 참관인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전기독교연합봉사회 2층 연봉홀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제19차 정기총회에서는 제7대 공동대표(강경희 상임대표, 문애준 공동대표)가 선출되었다. 

 ‘한국여장연’은 1999년부터 18년간의 운동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여성장애인 당사자가 운동의 주체로 성장, 세력화 해왔다. 또한 여성장애인의 교육권 확보, 폭력예방근절, 모성권 확보, 자립생활, 법률 제·개정, 정책 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연구, 건강, 생활체육화보, 노동권확보. 국내·외 연대, 한국여성장애인대회 등 ‘한국여장연‘ 운동을 꾸준히 전개해오고 있으며, 우리사회 여성장애인의 왜곡된 인식을 개선하고 법과 제도화의 흐름 속에서 여성장애인 인지적 관점과 실천력이 담보 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및 정책제언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해 왔다. 

 무엇보다 지난해 여성장애인지원예산 확대 및 여성장애인정책 제도화를 위해 전국 여성장애인당사자들과 여성장애인단체, 여성단체, 장애인단체들과 연대하여 사회적 최약자인 여성장애인의 기본 권리인 교육의 기회와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47일에 걸쳐 국회 정문 앞 릴레이 1인 시위와 더불어 전국의 300여명의 여성장애인당사들이 국회의사당 앞에 모여 대규모 결의대회를 진행하여 정부와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에 여성장애인 지원예산의 증액과 각 부처별 여성장애인을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및 여성장애인지원법 제정을 강력하게 촉구 하였다. 

 또한 2017년 ‘한국여장연’ 3대 중점 활동방향으로 여성장애인 폭력예방근절, 건강권확대, 사회참여 확대를 선정하였다. 

 중점운동 첫 번째는 우리사회에 뿌리 깊은 가부장적 남성중심문화와 장애인에 대한 낮은 인식으로 여성장애인에게 가해지는 성폭력․가정폭력 등에 대한 폭력 실태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법률 제·개정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 여성장애인 성인지적 관점이 반영된 이슈를 공론화 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 대안 마련을 위한 활동을 전개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한국여장연’ 상담위원회를 통해 전국 여성장애인 성폭력, 가정폭력 상담소와 피해자 보호시설 간의 정기적인 회의를 실시하여 반성폭력 운동을 위한 전국성폭력협의회 장애인상담소권역 연대활동과 여성장애인 성폭력피해자를 위한 상담활동을 통해 법률재개정 운동, 정책제안, 제도 개선활동과 인식개선을 통한 인권의식을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두 번째 중점운동으로는 여성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경제적 빈곤에서 오는 건강상태의 취약성을 사회문제화 하고 공론화 하여 우리사회의 구성원인 여성장애인의 건강증진과 의료복지에 관련한 법 제도 개선 및 여성장애인건강권확대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 할 것이다. 

 세 번째 중점운동으로는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여성장애인에 대한 교육 ·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의 장벽을 제거하고 여성장애인의 자존감 향상과 권익옹호를 위해 여성장애인 생애주기별 특성을 고려한 활동과 더불어 사회적 인식개선활동 및 관련 법 제도 개선활동 등 여성장애인 사회참여확대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 할 계획이다.  

 또한 기본권 확보를 위해 조직력과 정체성을 강화하고 정비하여 여성장애인 교육권확보운동, 정보문화권 확보운동, 노동권 확보운동, 자립생활운동, 정책 · 연구 사업, 홍보 인식개선사업, 후원사업, 국·내외 연대활동, 사회적 자립보장운동 등을 내실 있게 추진해 나갈 계획 이며,  그리고 이를 위해 한국여성장애인연합 운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시대가 요구하는 여성장애인운동의 패러다임을 위해 각 분야별 전문위원회와 지역 풀뿌리조직과의 지속적인 소통과 연대를 통해 인권운동의 관점과 실천력 및 전문성을 가지고 세부 사업을 수행해 나갈 것이다. 이를 토대로 대외적으로 모아진 역량과 조직력을 바탕으로 제 16회 한국여성장애인대회를 통해 여성장애인의 기본권에 대한 내용을 공론화 하고 결의문 채택과 우리들의 요구를 통한 제도적 정책제안 및 여성장애인 정책 활동과 인권의식 확산과 사회적 인식 개선 활동을 전개하고자 한다.

(사)한국여성장애인연합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 이룸센터 4층 2호 (우 07236)
Tel. 02) 3675-9935, 02) 766-9935     Fax. 02) 3675-9934     E-mail : kdawu@hanmail.net     홈페이지 유지보수 : 그루터기
COPYRIGHT(C) 한국여성장애인연합, ALL RIGHT RESERVED.